콘텐츠 정보

왜 지구의 절반은 비만을 걱정하고, 절반은 기아를 걱정할까?
1. 절반의 굶주림은 어떻게 정당화되었는가 · 지구 인구의 2배 분의 식량을 생산하지만, 기아 문제는 여전하다. · 멜서스의 인구론과 자본 시장의 논리는 굶주림을 정당화한다. 2. 왜 아직도 굶주릴까? ·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1/4은 소 사료로 활용한다. · 부유한 국가는 식량 가격 유지를 위해 잉여 곡물을 불태운다. 3. 인간이 자초한 굶주림 · 경제적 기아 : 전쟁, 재해 등 사고에 의한 기아 · 구조적 기아 : 의도적인 사회 구조로 인한 장기적인 기아 문제
책 제목
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?
저자
장 지글러
출판사
갈라파고스
필자
김송희

서사 유저가 밑줄 친 문장

아이의 눈에서 누군가는 먹을 게 없어 굶어 죽고, 또 다른 나라에서는 음식물이 쓰레기로 버려지는 현실이 기이하고 이상하기만 하다.

2023-05-05 08:25:55

1

빈곤과 기아는 15년이 흘렀어도 더 심화되었고,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으며 우리는 결국 시스템을 바꾸지 못했다.

2023-05-05 08:26:46

1

더불어 구조적 빈곤으로 인해 죽은 희생자들의 숫자만 증가했다. 

2023-05-05 08:26:51

1

절반의 굶주림은 어떻게 정당화되었는가

2023-05-05 08:26:53

1

관련 도서 1

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?

장 지글러

갈라파고스

9,800

8,820

(10%할인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