콘텐츠 정보

‘새로운’ 가족을 상상하다
1. '정상 가족' 바깥으로 · 2021년 인구총조사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건 1인 가구(33.4%)였다. · 각종 조사 결과들에 따르면 '가족'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. 2. '비정상 가족', 새로운 문제 집단의 출현일까? · 오늘날 미디어는 1인 가구나 비혼주의자를 '문제적 집단'으로 그리며, 사회적 고립이나 고독사의 원인으로 돌린다. · 하지만 1인 가구의 증가가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지지 않으며,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는 사회일 수록 깊은 유대가 가능하다. 3. 법이 정의하는 '가족'과 '가족이 아닌' 사람들 · 민법이 '가족'의 울타리를 규정함으로써 차별에 일조하고 있다. · 국가로부터 '중요하지 않은 관계'로 정의된 가족들은 삶의 여러 영역에서 배제되고 있다. 4. 사회적 가족을 상상하기 · 다양한 관계의 가족도 사회에서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법적,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. ·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취약함과 위기 상황을 본인이나 가족이 아닌 사회가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도 필요하다.
책 제목
가족을 구성할 권리
저자
김순남
출판사
오월의봄
필자
공백

서사 유저가 밑줄 친 문장

저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거치며 살아왔습니다.

2023-05-17 13:22:48

1

관련 도서 1

가족을 구성할 권리

김순남

오월의봄

13,800

12,420

(10%할인)